회전하는 임펠러에 블레이드가 동적 작용을 하여 에너지를 연속적인 유체 흐름으로 전달하거나, 유체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로 블레이드의 회전을 촉진하는 것을 터보기계라고 합니다. 터보기계에서 회전하는 블레이드는 유체에 양(+) 또는 음(-)의 일을 하여 압력을 높이거나 낮춥니다. 터보기계는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뉩니다. 하나는 유체가 동력을 흡수하여 압력 수두 또는 수두를 증가시키는 작동 기계(예: 베인 펌프 및 환풍기)입니다. 다른 하나는 유체가 팽창하여 압력을 낮추거나 수두가 동력을 생성하는 원동기(prime mover)로, 증기 터빈 및 수차 터빈과 같습니다. 원동기를 터빈이라고 하고, 작동 기계를 블레이드 유체 기계라고 합니다.
팬의 다양한 작동 원리에 따라 블레이드 유형과 볼륨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중 블레이드 유형은 축류, 원심형 및 혼합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팬의 압력에 따라 송풍기, 압축기 및 환풍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현재 기계 산업 표준 JB/T2977-92는 다음과 같이 규정합니다.팬은 입구가 표준 공기 입구 조건이고 출구 압력(게이지 압력)이 0.015MPa 미만인 팬을 말합니다.출구 압력(게이지 압력)이 0.015MPa와 0.2MPa 사이인 경우 송풍기라고 합니다.출구 압력(게이지 압력)이 0.2MPa보다 큰 경우 압축기라고 합니다.
송풍기의 주요 부품은 볼류트, 콜렉터, 임펠러입니다.
수집기는 가스를 임펠러로 보낼 수 있으며, 임펠러의 유입 흐름 상태는 수집기의 형상에 따라 결정됩니다. 수집기의 형상은 배럴형, 원뿔형, 원뿔형, 아크형, 아크 아크형, 아크 원뿔형 등 다양합니다.
임펠러는 일반적으로 휠 커버, 휠, 블레이드, 샤프트 디스크의 네 가지 구성 요소로 구성되며, 구조는 주로 용접 및 리벳으로 연결됩니다. 임펠러 출구의 설치 각도에 따라 방사형, 전방 및 후방의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임펠러는 원심 팬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며, 원심 터빈의 핵심 부품으로, 오일러 방정식으로 표현되는 에너지 전달 과정을 담당합니다. 원심 임펠러 내부의 유동은 임펠러 회전과 표면 곡률의 영향을 받으며, 유출, 복귀 및 2차 유동 현상을 동반하여 임펠러 내부의 유동을 매우 복잡하게 만듭니다. 임펠러 내부의 유동 조건은 전체 스테이지, 심지어 전체 기계의 공기역학적 성능과 효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볼류트는 주로 임펠러에서 나오는 가스를 포집하는 데 사용됩니다. 동시에 가스 속도를 적당히 낮춤으로써 가스의 운동 에너지를 가스의 정압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으며, 가스는 볼류트 출구에서 배출되도록 유도될 수 있습니다. 유체 터보기계로서, 볼류트는 내부 유동장을 연구함으로써 송풍기의 성능과 작동 효율을 향상시키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원심 송풍기 내부의 실제 유동 조건을 이해하고 임펠러와 볼류트의 설계를 개선하여 성능과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자들은 원심 임펠러와 볼류트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 분석, 실험 연구, 그리고 수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해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