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압 텐셔너 구조
텐셔너는 타이밍 시스템의 느슨한 쪽에 설치되며, 주로 타이밍 시스템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크랭크샤프트의 속도 변동과 자체 다각형 효과로 인한 진동을 제거합니다. 일반적인 구조는 그림 2와 같으며, 주로 쉘, 체크 밸브, 플런저, 플런저 스프링, 필러의 다섯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오일은 오일 입구에서 저압실로 주입되고, 체크 밸브를 통해 플런저와 쉘로 구성된 고압실로 유입되어 압력을 형성합니다. 고압실의 오일은 댐핑 오일 탱크와 플런저 간극을 통해 누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큰 댐핑력이 발생하여 시스템의 원활한 작동을 보장합니다.
배경 지식 2: 유압 텐셔너의 감쇠 특성
그림 2에서 텐셔너의 플런저에 조화 변위 가진이 가해지면, 플런저는 외부 가진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의 감쇠력을 생성합니다. 텐셔너의 특성을 연구하여 플런저의 힘과 변위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림 3과 같이 감쇠 특성 곡선을 그리는 것은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감쇠 특성 곡선은 많은 정보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곡선의 닫힌 영역은 주기적인 운동 중 텐셔너가 소모하는 감쇠 에너지를 나타냅니다. 닫힌 영역이 클수록 진동 흡수 능력이 강해집니다. 또 다른 예로, 압축 구간과 복귀 구간 곡선의 기울기는 텐셔너의 로딩 및 언로딩 민감도를 나타냅니다. 로딩 및 언로딩 속도가 빠를수록 텐셔너의 유효 이동 거리가 줄어들고, 플런저의 작은 변위에서도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더 유리합니다.
배경 지식 3: 플런저 힘과 체인의 느슨한 가장자리 힘의 관계
체인의 루즈 엣지 힘은 텐셔너 가이드 플레이트의 접선 방향을 따라 텐셔너 플런저의 장력이 분해된 것입니다. 텐셔너 가이드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접선 방향이 동시에 변합니다. 타이밍 시스템의 레이아웃에 따라 가이드 플레이트의 위치에 따라 플런저 힘과 루즈 엣지 힘 사이의 대응 관계는 그림 5와 같이 대략적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그림 6에서 볼 수 있듯이, 작업 구간에서 루즈 엣지 힘과 플런저 힘의 변화 추세는 기본적으로 동일합니다.
타이트 사이드 힘은 플런저 힘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얻을 수 없지만, 엔지니어링 경험에 따르면 최대 타이트 사이드 힘은 최대 느슨한 사이드 힘의 약 1.1~1.5배로, 엔지니어가 플런저 힘을 연구함으로써 시스템의 최대 체인 힘을 간접적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